メインメニューへ 本文へ

HK事業団

People of IJS

金喜敬
HK一般研究員

金喜敬

金喜敬詳細情報
所属/職位 慶北大学
専攻 考古人類学
電話 +82-53-950-5191
Eメール anthrohkkim@knu.ac.kr

学術論文

코로나19 확산 시기 노인 멀티플의 존재 양태와 노인 혐오 정동의 분출 메커니즘, 『한국문화인류학』 57(1); 185-254, 2024
“Everyday Rehearsal of Death and the Dilemmas of Dying in Super-Ageing Japan,” Modern Asian Studies, 57(1): 32-52, 2023
"Halma-Shock: The Shadow of Korean Familism and the Sociocultural Construction of Grandmother-Motherhood,"  Korean Anthropology Review, 2022.02.
"한국형 노후준비교육의 장에서 노후를 경영하는 주체의 균열과 파선적 생애경로의 구성,"『한국문화인류학』 55, 2022
"나가노 동계올림픽과 지역의 다층적 국제화," 『일본비평』
“현대 일본사회에서 노년의 이미지 변화와 재현의 정치,”『비교일본학』, 2019. 07
"When I Die: Biopolitics and the Ethics of Dying in Japans Super-aged Society,"  Seoul Journal of Japanese Studies, 2020.10.
"Place and Placelessness of Old Age:  The Politics of Aging in Place in Rural Japan" Korean Anthropology Review, 2020.02.
“할마쇼크: 한국 가족주의의 그림자와 할머니-모성의 사회문화적 구성,『한국문화인류학』, 2019.07.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한국문화인류학』, 51(2): 59-94. 2018.07.
“Underground Strongman: “Silver” Seats, Fare-Exempt Status, and the Struggles for Recognition on the Seoul Subway” Korea Journal, 57(4) 145-171, 2017.12.
“우바스테야마에서 건강장수도시로: 초고령화 시대의 지역활성화와 인구정치,” 『일어일문 연구』102(2): 191-219, 2017.08.
“욕구해석의 정치: 한국 직장인 노후준비교육 기획 및 시행과정에 대한 인류학적 고찰,” 『한국문화인류학』50(1): 133-173, 2017.03.
“중앙-지방의 관계동학과 지역성의 사회적 생산과 구성: 나가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비평』16호, 112-135, 2017.02.
“노년의 장소와 장소상실: 일본 농산촌 지역에서의 Aging in Place 실천과 장소감각의 경 합,” 『비교문화연구』 22(1): 259-289. 2016.07.
“노년에 대한 인류학 연구의 이론적 정향 검토,” 『한국문화인류학』 47(3): 129-159, 2014.02.
“노인의료문제의 사회문화적 측면: 무료노인병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16(1): 158-170.

著書/翻訳書

2025.6. 『달라붙는 감정들: 일상적 참사는 우리 몸과 마음에 무엇을 남기는가』, 아몬드 (공저)
2024.2. 『오늘을 넘는 아시아 여성 : 페미니즘이 묻고 인류학이 답하다』,  서울대학교 출판부 (공저)
2022.5. 『의료 인류학: 불평등한 아픔을 넘어 더 나은 세상으로』, 메디컬에듀케이션 (번역)
2020.2.   『여성 연구자, 선을 넘다』, 눌민 (공저)
2020.2.  Aging and Eldercare in East Asia: Beyond Filial Piety,  New York: Berghahn Publishers. (공저)
2017.2. 『안전사회 일본의 동요와 사회적 연대의 모색』, 박문사. (공저)
2017.5. 『의료, 아시아의 근대를 읽는 창』, 서울대학교 출판부. (공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