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주제 | 내용 | 강사(소속) |
---|---|---|---|
1 |
일본정치: |
전후 일본 정치의 전개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헌법개정 문제등을 둘러싸고 보수 우경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정치의 문제점을 분석해본다. | 남기정 (일본연구소 교수) |
2 |
일본역사: |
일본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특징을 알기 쉽게 소개하여, 역사를 통해 현대 일본의 사람•사회•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 이은경 (일본연구소 교수) |
3 |
일본대중문화: |
오타쿠(오덕후)문화는 한국의 일본대중문화 수용에서 가장 두드러진 사례이다. 이 강의에서는 일본 오타쿠문화와 한국 오덕후문화의 역사와 교류현황을 살펴보고 한일상호이해의 길을 모색한다. | 김효진 (일본연구소 교수) |
4 |
일본사상: |
한국을 싫어하는 넷우익과 재특회는 왜 출현했을까? 그들의 탄생배경, 삐딱한 논리와 감성 그리고 '혐한'과 '반일'의 상승효과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 조관자 (일본연구소 교수) |
5 |
일본외교: |
일본은 미국과의 동맹을 맺고 있으면서 아시아의 일원으로 살아가야 하는데 정권에 따라 달라지는 일본외교와 한일외교의 향방에 대해 고찰해본다. | 박철희 (일본연구소 소장/국제대학원교수) |
강좌 | 주제 | 내용 | 강사(소속) |
---|---|---|---|
1 |
일본정치: |
전후 일본 정치의 전개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헌법개정문제등을 둘러싸고 보수 우경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정치의 문제점을 분석해본다. | 남기정 (일본연구소 HK교수) |
2 |
일본역사: |
일본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특징을 알기 쉽게 소개하여, 역사를 통해 현대 일본의 사람•사회•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 이은경 (일본연구소HK연구교수) |
3 |
일본문학: |
일본의 젊은이들에게 아름다움의 대상은 무엇일까. 노벨 문학상을 받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을 통해서 일본인들 속의 미의식을 생각해 본다. | 남상욱 (일본연구소HK연구교수) |
4 |
일본사회: |
일본의 중고등학교 제도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 박지환 (일본연구소 HK교수) |
5 |
일본경제: |
전후 일본경제의 고도성장과 장기불황, 그리고 현황을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대한 경제사적 시사점을 고찰해 본다. | 임채성 (일본연구소HK교수) |
강좌 | 주제 | 내용 | 강사(소속) |
---|---|---|---|
1 |
일본정치: |
전후 일본 정치의 전개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헌법개정 문제등을 둘러싸고 보수 우경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정치의 문제점을 분석해본다. | 남기정 (일본연구소 교수) |
2 |
일본역사: |
일본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특징을 알기 쉽게 소개하여, 역사를 통해 현대 일본의 사람•사회•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 조관자 (일본연구소 교수) |
3 |
일본문학: |
아시아에서 서구문명 수용에 앞장섰던 일본에서 1930년대 이후 민족문화론을 제기한 일본낭만파. 그들의 문학운동이 당대와 그 이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 남상욱 (일본연구소HK연구교수) |
4 |
일본사회: |
일본의 중고등학교 제도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 박지환 (일본연구소 교수) |
5 |
일본외교: |
일본은 미국과의 동맹을 맺고 있으면서 아시아의 일원으로 살아가야 하는데 정권에 따라 달라지는 일본외교와 한일외교의 향방에 대해 고찰해본다. | 박철희 (일본연구소 소장/국제대학원교수) |
차수 | 일시 | 주제 | 강연자 |
---|---|---|---|
1 | 7/22(월) |
* 일본경제: 3.11 이후 일본의 경제는 어떻게 되고 있는가? 3.11 이후 일본의 원전과 에너지 문제를 경제의 측면에서심층적으로 분석해본다. |
임채성 (일본연구소 HK부교수) |
2 | 7/23(화) |
* 일본문학: 노벨문학상을 받은 일본 작가들은 누구인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일본작가들을 통해일본소설의 세계화 양상을 살펴본다. |
서동주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3 | 7/24(수) |
* 일본사회: 일본은 과연 평등사회인가? 일본이 평등사회인지에 대한 물음을 통해일본의 교육문제를 설명해본다. |
박지환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4 | 7/25(목) |
* 일본역사: 역사를 통해 이해하는 현대 일본 일본 역사의 흐름과 그 특징을중국 및 한국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정리하여 소개함으로써,현대 일본의 사람•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이은경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5 | 7/26(금) |
* 일본대중문화: 일본 대중문화에서 사랑은 무엇인가? 일본 대중문화와 애니메이션을 통해창조적 상상력과 세계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서동주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6 | 7/29(월) |
* 일본정치: 일본정치의 보수 우경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전후 일본 정치의 전개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현재 일본정치의 문제점을 깊이 분석해본다. |
남기정 (일본연구소 HK부교수) |
7 | 7/30(화) |
* 일본과 한국: 한국인에게 일본은 무엇인가? 해방 이후 한일관계를 역사적으로 살펴봄으로써,현재의 한일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
남기정 (일본연구소 HK부교수) |
8 | 7/31(수) |
* 일본과 아시아: 일본인은 아시아를 어떻게 생각하나? 전후 일본에서 아시아 침략에 대한반성과 연대 의식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
조관자 (일본연구소 HK조교수) |
차수 | 일시 | 주제 | 강연자 |
---|---|---|---|
1 | 1/6(월) |
* 일본역사: 일본역사 맥잡기 일본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특징을 알기 쉽게 소개하여, 역사를 통해 현대 일본의 사람•사회•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
이은경 (일본연구소HK연구교수) |
2 | 1/7(화) |
* 일본문학: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의 세계 일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대표작 [설국]에 대한 다각적인 독해를 통해 역사보다 자연을 중시하는 일본적 미의식에 대해 알아본다. |
서동주 (일본연구소HK연구교수) |
3 | 1/8(수) |
* 일본사회: 중등교육제도와 사회적 불평등 일본의 중고등학교 제도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
박지환 (일본연구소HK교수) |
4 | 1/9(목) |
* 일본경제: 에너지를 통해 본 전후 일본경제의 전개와 현황 전후 일본경제의 고도성장과 장기불황, 그리고 현황을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대한 경제사적 시사점을 고찰해 본다. |
임채성 (일본연구소HK교수) |
5 | 1/10(금) |
* 일본정치: 일본정치의 보수 우경화와 헌법개정문제 전후 일본 정치의 전개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헌법개정 문제 등을 둘러싸고 보수 우경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정치의 문제점을 분석해본다. |
남기정(일본연구소 HK교수) |
차수 | 일시 | 주제 | 강연자 |
---|---|---|---|
1 | 1/14(월) 10:00 ~ 12:00 |
* 왜 일본 정치는 늘 불안정한가 전후 일본 정치의 전개를 개관하고 그 연장에서 3.11 이후의 일본의 진로를 전망해본다. |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HK교수) |
2 | 1/15(화) 10:00 ~ 12:00 |
* 한국인에게 일본은 무엇인가 해방 이후 한일관계의 전개 속에서 현단계 한일관계를 어떻게 평가해야할지 생각해본다. |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HK교수) |
3 | 1/16(수) 10:00 ~ 12:00 |
* 3.11 이후 일본의 원전은 어떻게 되고 있는가 3.11 이후 일본의 원전과 에너지 문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해본다. |
임채성 (서울대 일본연구소 HK교수) |
4 | 1/17(목) 10:00 ~ 12:00 |
* 일본 대중문화에서 사랑은 무엇인가 일본 대중문화와 애니메이션을 통해 창조적 상상력과 세계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서동주 (서울대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5 | 1/18(금) 10:00 ~ 12:00 |
* 홋카이도의 장소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근대화 이후 일본의 변경 홋카이도가 변화해온 과정과 그 의미를 파악해본다. |
조아라 (서울대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6 | 1/21(월) 10:00 ~ 12:00 |
* 오키나와는 일본인가 아열대문화, 류큐왕국, 미군기지로 상징되는 오키나와를 통해 일본의 다른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
진필수 (서울대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7 | 1/22(화) 10:00 ~ 12:00 |
* 일본은 과연 평등사회인가 일본이 평등사회인지에 대한 물음을 교육문제로 설명해본다. |
박지환 (서울대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8 | 1/23(수) 10:00 ~ 12:00 |
* 재일한국인/조선인은 누구인가 일본에서 사는 재일한국인/조선인의 삶과 문화를 조명해본다. |
조관자 (서울대 일본연구소 HK교수) |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140동 403호 일본연구소 lTEL. 02-880-8503 lFAX. 02-874-3689 lE-mail. ijs@snu.ac.kr
COPYRIGHT ⓒ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IS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