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2단계 연구

생활세계의 변용과 연대 (2022.9.~2026.8.)

2단계는 2단계 1차, 2단계 2차 기획연구로 나누어 각각 2개의 연구클러스터가 구성됩니다. 이중 2단계 1차 연구 기간(2022.9-2024.8)에는 초성숙사회로서 일본의 생활세계에서 최근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변용을 생활정치의 차원에서 동시대적으로 분석하는 연구클러스터, 그와 같은 최근 변화의 배경이 되는 전후 성장신화의 기반과 그 이면의 모순을 통시적으로 접근하는 연구클러스터라는 2개의 연구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2단계 2차 연구 기간(2024.9-2026.8)의 중주제는 <일본 생활세계와 연대의 가능성>으로 1단계와 2단계 1차 기획연구가 상대적으로 일본사회의 변동 양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2020년대 일본사회가 겪는 다양한 문제점들이 일본만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관점에서 일본사회의 내외부에서 발생하고 제기되고 있는 연대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합니다.

성장주도 사회 일본의 생활정치: 통시적 접근

설명 본 연구는 초성숙사회에 대한 지향과 현재의 다각적 변화를 배태한 일본 사회의 거시적인 구조 변동을 통시적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성장사회에서 성숙사회로, 더욱 고도화된 초성숙사회로 일본(그리고 한국) 사회가 구조 변동하고 있다는 식의 접근이 학계와 저널리즘 담론에서 일반적으로 유행하고 있지만, 일본 사회의 장기 변동을 각 단계 사이의 구획과 단선적인 단계 밟기로 오인하게 할 위험이 있다. 성숙사회, 혹은 초성숙사회라는 이해의 틀이, 더 이상 고도성장이 불가능해진 사회가 노정한 폐색감과 억압되었던 갈등과 불만의 표출을 봉합하기 위한 완곡 표현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이전 시기에 팽배했던 물질만능의 발전주의 세계관과 성장 주도의 근대화 과정이 초래한 파괴적 결과들에 대한 비판을 담은 하나의 사회적 기획으로 읽힐 수 있다면, 이러한 기획의 기초를 단단하게 다지는 과정으로서 현재에 이르는 장기적 사회 변동의 실체를 단선적인 발전주의 틀에서 벗어나 면밀히 검토해야만 할 것이다.

성숙사회론에서는 흔히 이전 시기의 일본 사회를 성장사회라는 틀로 통칭하여 규정하나, 성장사회 모델을 당연시할 경우 ‘성장’을 근현대 일본이 경험한 실체로서 당연시하는 낡은 인식의 틀을 재생산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오히려 성장사회 담론을 떠받쳐온 경제적 성장, 정치적 안정, 사회문화적 통합이라는 시대 규정 자체를, 성장 이데올로기의 정언 명령이자 성장 신화를 생산하고 재생산해온 인식론적 기제로 상대화할 때, 일본 사회의 장기적 역사 변동 안에서 성숙사회, 나아가 초성숙사회에 대한 지향을 낳은 기반과 문제들을 다각적으로 포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근현대 시기를 통틀어 성장 신화를 구축하고 재생산해온 여러 기획들의 양상을 살피는 한편, 성장 신화에 가려 주변화되었던 모순과 갈등, 분열의 제상들을 발굴하여 성숙사회와 초성숙사회라는 모델을 배태한 일본 사회의 역동성과 구조 변동을 설명할 것이다.
연구책임자 정지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일본형 성숙사회'론과 후기산업사회의 생활정치: 자유주의 재건 시도와 성장 모델의 잔영
공동연구원 남상욱 (인천대학교 일본지역문화학과) 전후 일본문학장 속의 '성숙'과 '폭력
이은경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신체적' 성장을 장려하는 국가: 근대 일본 '건강우량아표창사업'을 중심으로
박승현 (계명대학교 일본학과) 일본의 가족, 노동, 복지정책과 전후 여성빈곤
서동주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고도성장기 서브컬쳐의 일본표상: 특수촬영영화 <고질라> 시리즈 (1954~1984)를 중심으로
한정선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성장주도형 공간정치: ‘불법점거지구 (不法占拠バラック街)’ 출현과 철거
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아마추어 만화운동으로서 코믹마켓: 80년대 소비사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교 홍유진 (서울대학교 과학사및과학철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초성숙사회 일본의 생활정치: 동시대적 접근

설명 일본의 ‘지금’을 우려하고 ‘앞으로’를 고민하는 사람들은,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전후 일본’의 형질이 1964년의 도쿄 올림픽을 전후한 시기에 나타나서, 2021년에 실시된 2020년 도쿄올림픽 패럴림픽을 계기로 서서히 수그러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한 관찰에 따르면, 일본은 1960년대에 성장주의 사회의 원형을 마련한 이후 1980년대에 ‘성장사회’의 정점을 찍은 뒤, 탈냉전과 함께 시작된 헤이세이(平成) 시기의 ‘잃어버린 30년’을 배경으로 ‘성숙사회’로 변용하였으며, 헤이세이의 종언 이후 ‘성숙 이후’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그렇다고 하여 성장-성숙-초성숙사회의 전개가 대나무처럼 마디에서 마디로의 변화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무지개처럼 그라데이션을 이뤄 어떤 부분이 짙어지는 가운데 다른 부분이 엷어지는, 농담(濃淡)의 변화에 가까운 전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초성숙사회로의 진입이 성장사회, 또는 성숙사회와의 결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때로 여전히 거칠게 표출되는 성장의 욕망과 조용히 자리 잡은 성숙의 의지가 경합하는 전선의 확대가 ‘성숙 이후’로의 진입을 추동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성숙 이후’를 포착하여 표현할 말을 아직 찾지 못한 우리는 이를 ‘초성숙사회’라 명명하고, 새로운 변용의 전선을 찾아 거기에서 확인되는 변용 이전과 이후 사이의 ‘유격과 간섭’의 정도를 드러내어, 변용의 결과 새로 출현할 일본의 모습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이때 주목하고자 하는 변용의 전선으로 기후, LGBT(성적 자기표현), 가족, 전쟁, 축제(祭り) 등이 있다. ‘생존+활동’으로서 ‘생활’을 둘러싼 사회적 권력과 자본의 재분배가 일어나는 정치의 현장들이다.

이 공동연구는 이러한 전선에서 변화의 가속력을 제공하는 쪽과 이에 저항하는 쪽이 벌이는 여러 상호작용을 ‘생활정치’로 포착하여 그 동력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연구책임자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의 정치과정
공동연구원 조관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저출산 고령화 AI 시대, 가족과 사회의 재구성
오승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핵'을 둘러싼 사회적 기억과 망각: 피폭자의 인정투쟁과 한일협력
노유니아 (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 2020도쿄올림픽 디자인 리뷰: 1964도쿄올림픽 디자인 레거시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선재원 (평택대학교 국제지역학부) 일본형 사회적 합의의 형성과 전망: 경제부흥운동과 노사정체제의 형성
이정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기시대 재정정책의 딜레마
박지환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딱 좋은 시골"로: 청년의 지방 이주 동기와 라이프스타일
조교 도채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