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본 공동연구는 인류역사상 유례없는 <초고령사회>인 동시에 재난의 위협이 일상화되어 있는 <재난사회> 일본이라는 문제설정을 통해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고베지역의 재편과 재생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고령화> 및 <재난의 일상화> 속에서 ‘복지’의 영역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으며, ‘복지’를 둘러싼 정치적, 사회적 경합 및 일상적 실천은 생활세계변동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본 공동연구는 <초고령사회><재난사회> 일본의 지역사회 및 시민사회의 재편과 재생을 고찰하며, 그 주요한 동력으로 ‘복지’의 영역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돌봄과 커뮤니티><시민사회와 시민운동><재해와 구조, 지역재생>라는 의제를 중심으로 생활세계의 다층적인 변화를 고찰할 것이다. 이로써 일본사회의 동향과 전망을 분석하고 현대일본연구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
---|---|---|
연구책임자 | 권숙인 (서울대) |
“외국인노동자, 케어 로봇, AI: 최선단 다문화화의 장으로서 개호 현장” |
공동연구원 | 박승현 (서울대) |
“한신대지진 이후의 도시계획과 공공주거, 그 생활세계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
지은숙 (서울대) |
고령사회의 지역운동과 여성주체의 부상 : 더 나은 고령사회를 위한 여성의 모임·오사카의활동을 중심으로 |
|
오와 미에 (간세이가쿠인대) |
요개호고령자의 재택생활 지원체제에 대한 연구: AIP와 커뮤니티 케어, 고령자 고립의 문제와 재택지원 |
|
야마 요시유키 (간세이가쿠인대) |
초고령사회의 지역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재해시 요원호자에 대한 지원시스템 구축 |
|
조교 | 김아롱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사과정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서는 관정이종환교육재단의 지원을 받아 관정일본연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 8월 '한일관계: 반일과 혐한을 넘어서'라는 주제로 제1회 학술회의를 개최했으며, 2020년 8월 24일에 열린 제2회 관정학술회의 "코로나19와 일본"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중계되었습니다.
제2회 학술회의는 코로나19 사태의 심각화에 따라 오프라인 행사를 취소하고 온라인으로 중계되었습니다. 개회사와 축사에 이어 김태형 순천향의대 감염내과 교수의 기조 강연으로 학술회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제1부 발표로 남기정 일본연구소 교수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동북아 질서 변혁과 한일 협력 가능성"에 대한 발표와 쓰다주쿠대학 박정진 교수의 "코로나 위기 속의 일본정치"가 진행되었습니다. 제2부 발표에서는 한국외대 이창민 교수의 "코로나19의 충격과 일본경제"에 이어 일본연구소 박승현 교수의 "팬데믹 이후의 일본사회: 재난, 불안과 자숙, 올림픽"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토론은 심규선 전 동아일보 대기자와 호리야마 아키코 마이니치신문 서울지국장의 진행으로 약 1시간 동안 이루어졌습니다
전국일본어교사협의회(JTA)를 통한 전국의 중고등학교 특강 요청이 있을 경우 본 연구소의 교수가 강사로 참여한 특강을 연 4-5회 내외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하반기에 총 4차례 개최되었습니다.
순번 | 일 자 | 학 교 | 강 사 | 강의 주제 |
---|---|---|---|---|
1 | 2019년 9월 18일 |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 남기정 | 한국과 일본: 과거 100년, 미래 100년 |
2 | 2019년 10월 18일 | 청원고등학교 | 조관자 | 한일 대중문화 교류와 한일우호 |
3 | 2019년 10월 23일 | 인천세무고등학교 | 서동주 | 한일관계의 전환과 한일교류의 재인식 |
4 | 2019년 11월 8일 | 인천신현고등학교 | 서동주 | 한일관계의 전환과 한일교류의 재인식 |
연간 5회 이내의 고등학생 대상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견학 프로그램을 진행 중입니다.
대학과 고교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합동워크숍을 연 1회 개최합니다.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는 동시대 한일 공통의 문제를 직시하고 미래 상생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관정일본리뷰>를 기획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정치경제적 변화, 글로벌 사회의 미래 불확실성과 외교 갈등, 사회적 다양성의 증가와 격차의 확대 등, 한일 양국 사회는 수많은 공통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관정일본리뷰>는 다양한 분야의 일본이슈 및 한일현안에 대해 시의성과 대중성을 추구하는 분석적 칼럼을 발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본사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한국사회의 시야를 확장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호수 | 일 자 | 저 자 | 주 제 |
---|---|---|---|
20 | 2020년 12월 16일 | 이은경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황실의 여자들: 비교, 비교, 비교 그리고 인권 |
19 | 2020년 12월 2일 | 정지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팬데믹 시대 35엔의 나비 효과: 스가 내각 출범과 공영 방송 NHK |
18 | 2020년 11월 18일 | 박 훈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 하기에는 언제쯤 갈 수 있을까 |
17 | 2020년 11월 4일 | 정재정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 한일 역사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 |
16 | 2020년 10월 21일 | 김성민 (홋카이도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원 교수) | '3차 한류'의 세 가지 풍경 |
15 | 2020년 10월 7일 | 조관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문화• 자연• 지방 창생: 지브리의 재탄생을 기대하며 |
14 | 2020년 9월 16일 | 이영진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메이지의 유령: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을 둘러싼 문제들 |
13 | 2020년 9월 2일 | 국중호 (요코하마시립대 교수/게이오대 특별초빙 교수) | 한⋅일 간 소득격차 축소와 한국의 대일 전략 |
12 | 2020년 8월 19일 | 유혁수 (가나가와대학 교수/ 요코하마국립대학 명예교수) | 75번째 8.15를 맞이하며:앞으로의 한일관계를 생각한다 |
11 | 2020년 8월 5일 | 임재환 (아오야마가쿠인대학 국제통상학부 교수) | 코로나19와 중일관계의 현재 |
10 | 2020년 7월 22일 | 여인만 (강릉원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 |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의 의미와 영향 |
9 | 2020년 7월 8일 | 권혁욱 (일본대학 경제학부 교수) | 코로나 이후의 일본경제 |
8 | 2020년 6월 24일 | 서동주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코로나 팬데믹 속의 ‘탈아입구(脱亜入欧)’를 경계하며 |
7 | 2020년 6월 10일 |
김범성 (히로시마공업대 환경학부 교수) |
코로나 시대의 "위생적"인 일본 |
6 | 2020년 5월 27일 | 박철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겸 국제학연구소장) | 한일간 역사수정주의의 대립을 넘어서야 |
5 | 2020년 5월 13일 | 심규선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객원연구원) | 최서면 원장님, 병실 밖은 신록이 꽃보다 아름답습니다 |
4 | 2020년 4월 29일 |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4.15총선, 코로나19, 그리고 한일관계 |
3 | 2020년 4월 16일 | 박영준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 일본이 한국형 안보제도를 도입하는 이유 |
2 | 2020년 4월 8일 | 박정진 (쓰다주쿠대학 국제관계학과) | 일본의 '긴급사태'와 '자숙' 매뉴얼 |
1 | 2020년 3월 25일 | 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영화 '기생충'과 한일의 새로운 연결:국경을 가로지르고 경계를 옮기는 사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