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SNU일본연구총서

Snu Japanese Studies Library

SNU일본연구총서는 연구소의 학술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활동의 성과 및 연구소 구성원의 연구성과를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춘 시리즈로 발간한 것입니다.

근대 일본과 번역의 정치

호수 14 발간일 2023-12-30
내용

번역을 통해 살펴본 일본 사회와 지식인들의 대의정체 인식

근대 일본에서 서양 서적의 번역 출판은 일본의 근대화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의 가치관과 세계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이후 근대화와 부국강병을 실현하는 방법론과 관련하여 국가 또는 천황의 역할을 강조하는 ‘국권론’과 인민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는 ‘자유민권론’이 대립하는 상황에서 스펜서, 블룬칠리, 밀, 루소, 몽테스키외 등이 저술한 정치·사회 관련 서적의 번역 출판은 일본 사회와 정체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의 문제를 두고 벌인 ‘정치적·이데올로기적 투쟁’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실제로 당시 일본 지식인들은 번역 과정에서 단순히 번역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신들의 입장에 맞게 개념을 변용하고 때로는 새로운 개념으로 창조함으로써 자신들의 논리를 뒷받침하는 논거로 활용하고자 했다. 이 책에서는 근대 일본에서 번역이 갖는 이러한 역할에 주목하여 번역을 매개로 일본 사회와 지식인들의 대의정체 인식에 대해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서론: 번역과 근대 일본의 대의정체 인식/김범수
1. 번역과 일본의 근대화
2. 왜 ‘대의민주주의’로 번역되었는가?
3. 번역에 나타난 근대 일본의 대의정체 구상
4. 번역과 일본의 대의민주주의


[제 I 부] ‘대의민주주의’의 개념사와 번역사

제1장 대의민주주의 개념의 서양사: 대표, 민주주의, 의회제의 역사/홍철기
1. ‘대의정체’의 의회주의적 기원
2. 대표, 대의, 그리고 민주주의
3. 의회주의 혹은 토의에 의한 정부
4. 대의민주주의의 승리인가, 위기인가?

제2장 왜 ‘대의민주주의’가 되었을까?: 용례의 기원과 함의/이관후
1. 왜 ‘대표’가 아니라 ‘대의’일까?
2. ‘대표’에서 무엇이 쟁점이 되는가?
3. 한국에서 ‘대표’와 ‘대의’의 정치적 용례와 기원
4. 탁월한 자의 통치로서 ‘대의민주주의’
5. ‘대의’를 넘어 ‘대표’로

제3장 데모크라시는 어떻게 ‘민주주의’가 되었을까?: 19~20세기의 번역어 성립 과정/송경호·김현
1. ‘민주주의’라는 기묘한 번역어
2. 19세기 중반 ‘민주’의 등장: 리퍼블릭의 번역어
3. 1860~1870년대 ‘민주’의 전환: 데모크라시의 번역어
4. 1880년대 ‘민주주의’의 등장: 데모크라시의 번역어
5. 20세기 전간기 ‘민주주의’ 사용의 일반화
6. ‘데모크라시’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


[제 II 부] 번역에 나타난 근대 일본의 대의정체 구상

제4장 밀의 『대의정부론』 번역: 대의/대표/상징을 둘러싼 번역의 정치/김태진
1. 대의정부론 전성시대
2. 유사전제와 메이지 시기의 의회 설립 운동
3. 대의정부론 번역서 서문의 의미
4. 밀의 ‘대의’와 나가미네의 ‘대의’
5. ‘유사전제’ vs. ‘대의’의 반대편: ‘대표’ vs. ‘표창’
6. ‘representation’ 개념을 통해 메이지 일본 다시 보기

제5장 블룬칠리의 『국법범론』 번역: 가토 히로유키의 대의제 인식과 ‘공론’의 탈각/김도형
1. 대의제 수용 문제와 근대 일본
2. 19세기 후반 일본의 공의와 공론
3. 가토 히로유키의 초기 저작에 나타난 인민의 권리와 대의정체
4. 블룬칠리의 ‘사권’, ‘공권’ 개념에 대한 가토의 번역 수용 양상
5. 역사적 전개로서 블룬칠리의 근대 국가와 대의제
6. 블룬칠리의 근대 국가 논의에 대한 가토의 변용
7. 가토의 대의제 인식
8. ‘인화’와 ‘공론’: 블룬칠리 이후 대의제의 향방

제6장 루소의 『사회계약론』 번역: 루소의 ‘일반의지’ 번역어로서 조민의 ‘공지(公志)’/김태진
1. ‘일반의지’라는 아포리아
2. ‘일반의지’의 번역어로서 ‘중지(衆志)’
3. ‘중지’와 ‘공지’의 차이: ‘의’한다는 것의 의미
4. 대의민주주의의 수용과 ‘공의’
5. ‘일대뇌수(一大腦髓)’로서의 국회
6. ‘일반의지’와 ‘공지’ 사이

제7장 몽테스키외의 『법의 정신』 번역: 19세기 말 20세기 초 일본과 중국의 번역본들/소진형
1.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제도 수용 단계에서 『법의 정신』의 번역 의미
2. 동아시아에서 번역된 『법의 정신』의 미국적 기원
3. 『법의 정신』 번역과 번역어들의 경쟁
4. 『법의 정신』의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번역어 선택과 번안
5. 『법의 정신』의 비일관적 번역어와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부록
1. represent/representative 관련 근대 한중일 사전 용례
2. democracy/republic 관련 근대 일본 사전 용례

참고문헌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