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본 공동연구는 인류역사상 유례없는 <초고령사회>인 동시에 재난의 위협이 일상화되어 있는 <재난사회> 일본이라는 문제설정을 통해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고베지역의 재편과 재생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고령화> 및 <재난의 일상화> 속에서 ‘복지’의 영역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으며, ‘복지’를 둘러싼 정치적, 사회적 경합 및 일상적 실천은 생활세계변동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본 공동연구는 <초고령사회><재난사회> 일본의 지역사회 및 시민사회의 재편과 재생을 고찰하며, 그 주요한 동력으로 ‘복지’의 영역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돌봄과 커뮤니티><시민사회와 시민운동><재해와 구조, 지역재생>라는 의제를 중심으로 생활세계의 다층적인 변화를 고찰할 것이다. 이로써 일본사회의 동향과 전망을 분석하고 현대일본연구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
---|---|---|
연구책임자 | 권숙인 (서울대) |
“외국인노동자,케어 로봇, AI:최선단 다문화화의 장으로서 개호 현장” |
공동연구원 | 박승현 (서울대) |
“한신대지진 이후의 도시계획과 공공주거,그 생활세계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
지은숙 (서울대) |
고령사회의 지역운동과 여성주체의 부상:더 나은 고령사회를 위한 여성의 모임·오사카의활동을 중심으로 |
|
오와 미에 (간세이가쿠인대) |
요개호고령자의 재택생활 지원체제에 대한 연구:AIP와 커뮤니티 케어,고령자 고립의 문제와 재택지원 |
|
야마 요시유키 (간세이가쿠인대) |
초고령사회의 지역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재해시 요원호자에 대한 지원시스템 구축 |
|
조교 | 김아롱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사과정 |
순번 | 일자 | 학교 | 강사 | 강의주제 |
---|---|---|---|---|
1 | 2019년 9월 18일 |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 남기정 | 한국과 일본: 과거 100년, 미래 100년 |
2 | 2019년 10월 18일 | 청원고등학교 | 조관자 | 한일 대중문화 교류와 한일우호 |
3 | 2019년 10월 23일 | 인천세무고등학교 | 서동주 | 한일관계의 전환과 한일교류의 재인식 |
4 | 2019년 11월 8일 | 인천신현고등학교 | 서동주 | 한일관계의 전환과 한일교류의 재인식 |
5 | 2020년 7월 3일 | 청원고등학교 | 서동주 | 교양이 되는 현대의 일본문화론 |
6 | 2021년 5월 17일 | 상문고등학교 | 서동주 | 코로나와 일본사회 |
9 | 2022년 1월 14일 | 중고등교육 일본어교사를 위한 실천워크숍 | 서동주 | '고질라'로 읽는 전후사상의 구조 |
10 | 2022년 2월 26일 | 일본어교사협의회 연수회 | 서동주 | 서브컬처로 읽는 전후일본의 사상사 |
11 | 2022년 5월 10일 | 대전 유성고등학교 | 서동주 | 코로나의 충격과 일본의 세계인식 |
12 | 2022년 7월 6일 | 경주고등학교 | 서동주 | 코로나 시대 일본의 세계인식과 한일관계의 미래 |
13 | 2022년 7월 14일 | 인천 초은고등학교 | 서동주 | 교양이 되는 일본문화론 |
14 | 2022년 11월 10일 | 서울 상문고등학교 | 서동주 | 영화 <고질라>로 보는 전후 일본의 정신사 |
15 | 2022년 11월 15일 | 대전 유성고등학교 | 서동주 | 영화 <고질라>로 보는 전후 일본의 정신사 |
16 | 2023년 7월 19일 | 대전 유성고등학교 | 서동주 |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 |
호수 | 일자 | 저자 | 주제 |
---|---|---|---|
60 | 2022년 9월 14일 | 박상준(와세대대학 국제학술원 교수) | 일본 경제, 잃어버린 30년이 아니라 20년이다 |
59 | 2022년 8월 24일 | 박지선(오카야마대학 사회문화과학대학원 조교수) | 포스트 아베 시대 기시다 총리의 리더십 |
58 | 2022년 8월 10일 | 김지영(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 아베 전 수상의 총격사건을 지켜보며 |
57 | 2022년 7월 27일 | 임은정(국립공주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 포스트 아베 시대, 한일관계에 현실적 접근 필요 |
56 | 2022년 7월 13일 | 이면우(세종연구소 대외협력담당 부소장) | 한국의 '글로벌 중추국가'화는 한일협력을 출발점으로 |
55 | 2022년 6월 29일 | 오태규(전 駐오사카 대한민국 총영사, 서울대 일본연구소 객원연구원) | 오사카 코리아타운에 '재일동포 기념관'을 세우자 |
54 | 2022년 6월 15일 |
정미애(전 駐니가타 대한민국 총영사,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원) |
일본의 보수우경화에 맞선 작지만 큰 목소리, 크지만 작은 목소리 |
53 | 2022년 5월 25일 | 이기태 (통일연구원 평화연구실 연구위원) |
일본은 군사대국이 될 것인가? |
52 | 2022년 5월 11일 | 이창민 (한국외국어대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 |
가난한 나라 부자 국민, 일본의 고민 |
51 | 2022년 4월 20일 | 진창수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윤석열 정부와 한일관계 개선: 포괄적 해결 방식은 단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
50 | 2022년 4월 6일 | 신각수 (세토포럼 이사장) |
강제동원 문제 해결의 원점을 찾아서 |
49 | 2022년 3월 30일 | 장인성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
정치적인 것의 귀환 |
48 | 2022년 3월 16일 | 마에다 겐타로 (도쿄대학대학원 법학정치학연구과 교수) |
일본이 동아시아 국가라는 것을 한국에서 배웠다 |
47 | 2022년 2월 23일 | 손석의 (세종대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
또 다른 이산가족의 이야기 |
46 | 2022년 2월 9일 | 신정화 (동서대 글로벌 아시아학과 교수) |
북한문제와 한일관계: 협력에서 대립으로 |
45 | 2022년 1월 26일 | 최희식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 |
도의적 책임론의 재인식 |
44 | 2022년 1월 12일 | 박철희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1965년 체제를 보는 세 가지 시각과 한일협력의 길 |
43 | 2021년 12월 22일 | 이원덕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 |
차기 정부의 대일 외교 과제 |
42 | 2021년 12월 8일 | 호리야마 아키코 (마이니치신문 외신부 데스크/전 서울지국장) |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 단독 과반수」를 예측 못했던 일본 언론 |
41 | 2021년 11월 24일 | 손열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동아시아연구원장) |
한일관계의 새 이슈로 부상하는 ‘경제안보’ |
40 | 2021년 11월 10일 | 노유니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교수) |
코로나 팬데믹 속 일상의 회복 - 아이의 운동회를 지켜보며 |
39 | 2021년 10월 27일 | 한상일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
고마운 일본인 |
38 | 2021년 10월 13일 | 조관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일본의 <데스게임>과 <오징어 게임> |
37 | 2021년 9월 29일 | 오윤정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 |
도쿄, 올림픽 그리고 골판지 |
36 | 2021년 9월 15일 | 정지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미국의 아프간 철군과 일본 점령 성공 신화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 |
35 | 2021년 8월 25일 | 김백영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2020 도쿄올림픽 폐막을 지켜보며 |
34 | 2021년 8월 11일 | 이은경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우리 다시 만나[서 싸우]게 해주세요 |
33 | 2021년 7월 28일 | 정준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
옛날 관광안내서로 한일 투어리즘을 상상하기 |
32 | 2021년 7월 14일 | 서동주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난감한 이웃 일본의 복잡한 내면 |
31 | 2021년 6월 23일 | 오승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귀멸의 칼날>과 <사랑의 불시착>으로 본 한일관계 |
30 | 2021년 6월 9일 | 이정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
제44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와 한일관계 |
29 | 2021년 5월 26일 |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피해/생존자 없는 시대의 피해자 중심 접근과 일본군‘위안부’ 문제 |
28 | 2021년 5월 12일 | 한정선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줌 (Zoom)으로 가 본 일본 도야마현(富山県) 도야마시(富山市) |
27 | 2021년 4월 28일 | 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삿포로 지방법원 <동성혼 불인정 위헌판결>이 보여주는 일본 사회의 변화 |
26 | 2021년 4월 14일 | 윤상인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객원연구원, 전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 |
근대문명과 신체정치 |
25 | 2021년 3월 24일 | 이종원 (와세다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과 교수) |
'미래지향'의 한일 갈등 |
24 | 2021년 3월 10일 | 박지환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지방에서 지내며, 머물고, 살아가는 청년 |
23 | 2021년 2월 24일 | 박승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두 번의 3.11, 두 번의 긴급사태선언 |
22 | 2021년 2월 10일 | 손석의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
정치개혁, 그 후 |
21 | 2021년 1월 20일 | 박태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
한일관계 현안에서 역사문제를 분리해야 |
20 | 2020년 12월 16일 | 이은경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황실의 여자들: 비교, 비교, 비교 그리고 인권 |
19 | 2020년 12월 2일 | 정지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팬데믹 시대 35엔의 나비 효과: 스가 내각 출범과 공영 방송 NHK |
18 | 2020년 11월 18일 | 박 훈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
하기에는 언제쯤 갈 수 있을까 |
17 | 2020년 11월 4일 | 정재정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
한일 역사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 |
16 | 2020년 10월 21일 | 김성민 (홋카이도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연구원 교수) |
'3차 한류'의 세 가지 풍경 |
15 | 2020년 10월 7일 | 조관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문화• 자연• 지방 창생: 지브리의 재탄생을 기대하며 |
14 | 2020년 9월 16일 | 이영진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메이지의 유령: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을 둘러싼 문제들 |
13 | 2020년 9월 2일 | 국중호 (요코하마시립대 교수/게이오대 특별초빙 교수) |
한⋅일 간 소득격차 축소와 한국의 대일 전략 |
12 | 2020년 8월 19일 | 유혁수 (가나가와대학 교수/ 요코하마국립대학 명예교수) |
75번째 8.15를 맞이하며:앞으로의 한일관계를 생각한다 |
11 | 2020년 8월 5일 | 임재환 (아오야마가쿠인대학 국제통상학부 교수) |
코로나19와 중일관계의 현재 |
10 | 2020년 7월 22일 | 여인만 (강릉원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 |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의 의미와 영향 |
9 | 2020년 7월 8일 | 권혁욱 (일본대학 경제학부 교수) |
코로나 이후의 일본경제 |
8 | 2020년 6월 24일 | 서동주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교수) |
코로나 팬데믹 속의 ‘탈아입구(脱亜入欧)’를 경계하며 |
7 | 2020년 6월 10일 | 김범성 (히로시마공업대 환경학부 교수) |
코로나 시대의 "위생적"인 일본 |
6 | 2020년 5월 27일 | 박철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겸 국제학연구소장) |
한일간 역사수정주의의 대립을 넘어서야 |
5 | 2020년 5월 13일 | 심규선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객원연구원) |
최서면 원장님, 병실 밖은 신록이 꽃보다 아름답습니다 |
4 | 2020년 4월 29일 |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4.15총선, 코로나19, 그리고 한일관계 |
3 | 2020년 4월 16일 | 박영준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
일본이 한국형 안보제도를 도입하는 이유 |
2 | 2020년 4월 8일 | 박정진 (쓰다주쿠대학 국제관계학과) |
일본의 '긴급사태'와 '자숙' 매뉴얼 |
1 | 2020년 3월 25일 | 김효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영화 '기생충'과 한일의 새로운 연결:국경을 가로지르고 경계를 옮기는 사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