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17 | 발간일 | 2024-12-31 |
---|
제I부 돌봄의 주체와 객체
제1장 “웃는 얼굴, 상냥하고 밝은” _박경민
1. 일본의 개호 이주노동자
2. 국제 이주노동의 여성화와 돌봄노동
3. 일본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정책과 돌봄노동
4. 외국인 개호노동자의 자격과 조건
5. 개호인재의 문화적 표상과 실재
6. 통합적 이주노동자 정책의 필요성
제2장 자립과 의존을 둘러싼 모색의 40년 _지은숙
1. 고령화사회와 여성운동의 1막
2. ‘귀여운 할머니’를 바라느니 세상을 바꾸겠다
3. 고령사회의 상징이 된 ‘귀여운 할머니들’: 킨상·긴상
4. 자립적 여성의 나이 듦과 돌봄 의존자 되기
5. 돌봄 의존자로 살면서 알게 된 것들: 야마다 요시코 씨의 경우
6. 오히토리사마와 고령사회 여성운동의 2막
제II부 고령화와 지역공동체의 재편
제3장 우리 동네 ‘모임터’ _오와 미에
1. 초고령사회, 고립화의 진행과 그 대책
2. 일본 고령자가 사람들과 교류하는 방법
3. 사회적 고립과 ‘모임터’
4. NPO법인의 중간 지원
5. 모임터의 사례
6. 앞으로의 과제
7. 다양한 모임터를 확보하기 위한 협동의 필요성
제4장 퇴직한 남성들의 지역 데뷔 _야마 요시유키
1. 재해 지원과 공공인류학
2. ‘철학카페’란
3. 대규모 재해와 철학카페
4. 노인복지센터와의 협동 실천
5. 철학카페의 운영
6. 철학카페의 역할
7. 공공인류학의 실천
제III부 팬데믹 속에서 드러난 과제
제5장 돌봄과 감시의 동거 _김경화
1. 일본의 코로나19 사태 대응과 ‘자숙경찰’
2. 자숙경찰을 보는 두 가지 관점
3. 자숙의 문화, 자숙의 역사
4. 글로벌 팬데믹과 ‘돌봄 감시’
5. 돌봄과 감시의 동거
제6장 우머노믹스와 여성 불황 _박승현
1. 코로나19와 일본 여성 빈곤의 돌출
2.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과 열외의 빈곤들
3. 헤이세이의 ‘어느 가족’들
4. 미디어 보도, 빈곤의 쟁점들
5. 여성에게 집중된 코로나19 고용불황
6. 고용과 임금의 젠더 격차
7. ‘더 이상 쇼와가 아니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