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상실의 시대, 새로운 윤리적 주체를 꿈꾸며
《1부》 시대사상과 대중사회론
1. 반미주체화와 아시아주의의 이중변주
1). 이항 대립적 인식 지형을 넘어서
2). 반미주체화와 아시아주의의 이중변주
3). 탈냉전과 일본 전후체제의 균열
4). ‘전략적 친미’를 부정하는 반미보수
5). 좌익이 ‘사요쿠》사요’가 된 일상에서 진보,혁신의 깃발은 어디로?
6). ‘주체화’에서 핵심 문제는 미국이 아닌 아시아
2. 고도 대중사회 일본과 보수주의
1). 정치경제학과 문화
2). 고도 대중사회로서의 일본
3). 평화주의와 전쟁
4). 회의적 보수주의
5). 문화공동체와 평형의 붕괴
《2부》 국가전략과 사회운동
3. 민주당 정권의 국가전략과 평화담론
1). 위기와 국가전략 그리고 평화담론
2). 민주당 정권의 등장과 동아시아 비전
3). 전략의 갱신: ‘수동적 평화’에서 ‘능동적 평화’로
4). 이른바 ‘장래구상’과 한반도 문제
5). 연속과 변화: ‘평화창조국가’와 ‘적극적 평화주의’
4. 2000년대 시위문화와 탈원전 운동
1). 데모를 할 수 있는 사회
2). 정치적 개념으로서의 불안정
3). 사운드데모의 발명
4). 탈원전 데모의 경험
5). 재미의 정치의 함정
《3부》 관계의 상실과 주체의 회복
5. 소노 시온의 영화와 아이덴티티
1). 소노 시온, 누구인가
2). 소노 영화 속 ‘카오스의 가족’과 아이덴티티 문제
3). 자살의 ‘향유’: 생명충동과 죽음충동 사이에서
4). 렌털 아이덴티티의 향방: 상상계,상징계,실재계의 아이덴티티
5). 사막과 낙타: 당신은 당신과 관계하고 있습니까?
6). 금지의 사회에서 향유의 사회로
6. 안전신화 붕괴와 소년범죄 담론
1). 90년대 이후 일본 소설과 소년범죄
2). 고도성장기에서 포스트고도성장기로: 안전신화의 붕괴 속에 진동하는 윤리
3). 소년법 개정과 법집행의 엄중화: ‘포섭형 사회’에서 ‘배제형 사회’로
4). 피해자 의식의 확산과 시큐리티 정치의 도래
7. 엔카와 상실감, 1990년대 일본대중음악문화
1). 이미지 소비의 시대
2). 사라져가는 문화에 대한 애착
3).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엔카
4). 허구로서 소비되는 엔카
5). 일본대중문화 속 상실감의 정서
《주요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