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전문가초청세미나

Seminars by Invited Experts

해방 전 재일본 조선인 미술유학생정보
제목 해방 전 재일본 조선인 미술유학생
발표자 김지영(金智英) 도쿄예술대학 예술학과 박사
일시 2020년 11월 24일 (화) 12:30-14:00
장소 Zoom Webinar
회차 245회
토론
조선인 일본 미술유학생은 근대 미술의 개념을 수입했다는 점에서 한국 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본의 조선인 미술 유학생의 1900년부터 1945년까지 약 반 세기 동안 500명, 개인 사사를 받은 비제도권 유학생을 포함하면 그 이상이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유학생은 일본에서 일본화된 서양화를 배우는 서양화 전공자이며, 그 다음으로 많은 전공은 섬유미술(자수미술)이었다. 특히 여자미술학교는 서양화가 절대 다수인 다른 학교와 달리 자수미술이 다수였는데, 이는 젠더에 따른 차이에서 기인한다.
미술을 포함한 식민지기 여성 유학생은 부유한 경제적 기반과 여성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가정환경이라는 여건을 갖고 있었으나, 유학 동기와 목적에는 큰 제약을 받았다. ‘여성에게 도움이 되는 학문’을 선택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과 가족의 허락, 그리고 유학 이후 직업여성으로서 사회경제적 자립을 해야 한다는 목적이 전공 결정의 가장 큰 요인이었다. 따라서 졸업증이나 교사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유학의 가장 큰 목적이고, 자수미술 자체를 학문의 대상이나 학문의 심화활동으로 여기는 경우는 적었다. 신문물의 수입을 통해 예술가로서 입신양명을 목표로 한 남성 미술유학생과의 차이가 여기서 나왔다.
이러한 젠더의 차이는 귀국 이후의 활동에도 큰 차이를 야기하는데, 서양화, 남성 중심의 화단에서 자수예술은 하나의 미술로 인정받지 못하고 아마추어 미술로 취급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가내 수공예품 제작 여성과 구별되는 감상품을 제작하는 남성을 지칭하기 위해 예술가 개념을 탄생시킨 예술 내에서의 젠더 위계를 그대로 보여준다.
또한 유학 지역에서도 위계가 나타나는데, 대부분이 도쿄를 중심으로 한 미술 유학계에서 소수의 오사카예술학교 출신 유학생들은 몇 가지 차별적인 특징을 보였다. 우선 조선 전역에서 모인 도쿄와는 달리 경남, 제주 출신이 많았다는 것과, 처음부터 유학을 목적으로 한게 아닌 빈곤한 이주자 출신들이 진학했다는 점이었다. 이들 오사카예술학교 출신들은 해방 후에도 중앙 화단에 진출하지 못하고 경남이나 제주 지역 화단에서 주로 머무르면서, 지방미술의 노스탤지어적 정체성을 모색하였다.
또 하나 특수한 케이스로는 초현실주의 화가로 한국인이나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거부하고 일본인으로 남고자 했던 마나베 히데오를 들 수 있다. 이처럼 근대 조선인 미술유학은 젠더와 장르, 지역의 위계가 얽혀 다중적 양상을 띠었고, 그 유학환경과 체험의 차이로부터 다양한 아이덴티티가 파생되었기 때문에 그 전체상을 조명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발표가 끝나고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먼저 제국대학에 진학하여 관료로 진출한 조선인들과 대비하여 미술 유학생들도 유사한 유학동기를 가졌냐는 질문에 대해, 발표자는 유사하게 관립 미술학교에 진학한 유학생들이 일제에 협력하고 해방 이후 제도화에도 큰 영향을 끼쳤지만, 역설적으로 그것을 거부한 사설학원 출신들, 특히 이중섭 같은 예술가가 한국 미술사에 남게 되었다는 평가를 내렸다. 한국인 혹은 재일조선인의 정체성을 거부하고 일본인으로 은둔한 마나베 히데오에 대한 추가 질의도 이어져, 디아스포라 예술인의 정체성을 어떻게 다시 확립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과 고민도 이어졌다. 이외에도 유족 등을 인터뷰한 연구 방법 등에 대한 질의가 이어진 후 세미나는 막을 내렸다.
이미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