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SNU일본연구총서

Snu Japanese Studies Library

SNU일본연구총서는 연구소의 학술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활동의 성과 및 연구소 구성원의 연구성과를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춘 시리즈로 발간한 것입니다.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호수 11 발간일 2021-07-20
내용
머리말: 왜 지금 한국과 일본의 전후문학인가?

제1부 ‘전후’라는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제1장 한국 전후문학 연구의 방법론 검토:
일본의 전후문학론과 관련하여 / 방민호

1. 들어가며: 김윤식의 ‘학병세대’ 글쓰기 연구
2. 세대와 전후문학의 관계 양상
3. 전후문학의 시기 구분 및 관련 개념들
4. 일본문학에서의 ‘전후’와 그 참조: 가토 노리히로의 『패전후론』과 관련하여
5. 나가며: 해방 이후의 한국 전후문학 연구의 역사적 지평
참고문헌

제2장 한국문학의 ‘전후’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 / 박현수
1. 들어가며
2. 생성 중인 개념으로서의 ‘전후’
3. 생성 중인 기의의 촉매로서 일본문단의 전후 개념
4. ‘전후’ 개념에 대한 성찰과 한국적 전후의 특수성
5. 나가며
참고문헌

제2부 해방 후 한국과 일본의 전후문학은 무엇을 사고했나?

제3장 일본인은 ‘점령’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었나?:
야스오카 쇼타로의 초기 소설 속의 ‘점령’을 중심으로 / 남상욱

1. ‘점령기’와 ‘전후’ 사이의 ‘점령’
2. 접수 주택의 경험과 변화하는 ‘인간’ 개념
3. USSR의 경험으로서 점령기
4. ‘조선인’과의 자기동일시 속의 ‘점령’ 수락
5. ‘전후’를 반성케 하는 ‘점령’ 담론의 가능성
참고문헌

제4장 한일 전후소설에서의 ‘팡팡’과 ‘양공주’ 표상:
전쟁 기억의 재현과 은폐 / 홍윤표

1. 들어가며
2. 전후 일본의 ‘여성’ 담론: ‘일반부녀자’와 ‘창부’
3. 전후 일본소설에서의 ‘팡팡’ 표상
4. 한국 전후소설에서의 ‘양공주’ 표상
5. 나가며
참고문헌

제5장 잡지 『신천지』를 통해서 본 ‘전후 인식’ 양상 / 이희정
1. 들어가며
2. 세계의 ‘전후’와 자주독립국가의 확립
3. 한국의 ‘전후’와 반공 이데올로기의 확립
4. ‘문화주의’를 통한 ‘전후’ 극복 의지
5. 나가며
참고문헌

제6장 제로 연대 일본영화 속 ‘전후’ 담론 / 신하경
1. 들어가며: ‘전후’ 담론 영화란?
2. ‘역사’적 상상력의 소환
3. ‘전후’ 담론 영화가 구현하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제상
4. 나가며: ‘과거의 소환’과 관련하여
참고문헌

제3부 한국전쟁 이후의 한국 전후문학을 읽는 방법

제7장 황순원의 『일월』과 시마자키 도손의 『파계』:
전후소설론의 맥락에서 / 방민호

1. 들어가며: 황순원의 장편소설 『일월』과 전후소설 개념
2. 시마자키 도손의 『파계』와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
3. 러일전쟁 ‘전후소설’의 맥락에서 본 『파계』
4. 백정의 삶의 묘사와 ‘고백’의 문제: 『일월』과 『파계』의 경우
5. 나가며: 6·25 전후소설 『일월』의 위치
참고문헌

제8장 선을 못 넘은 ‘자발적 미수자’와 선을 넘은 ‘임의의 인물’:
최인훈의 『광장』과 홋타 요시에의 『광장의 고독』을 중심으로 / 김진규

1. 들어가며
2. 한국전쟁, 실존주의 그리고 광장
3. 세계와의 분리: ‘인간의 혼’과 ‘에고’
4. ‘한 발 내딛기’와 ‘범죄자 되기’
5. 나가며
참고문헌

제9장 한국 전후세대 시인들의 위치와 언어적 현실 / 여태천
1. 전후세대와 언어적 혼란
2. 억압과 강제의 흔적으로서의 일본어
3. 뿌리칠 수 없는 조건으로서의 한자어
4. 코즈모폴리턴 문화의 유혹과 외래어
5. 언어적 혼란의 이면
참고문헌

제10장 1960년대 일본번역문학의 수용과 전집 발간:
신구문화사 『일본전후문제작품집』을 중심으로 / 이종호

1. 일본번역문학선집과 일본번역문학의 수용론
2. ‘4·19’와 『일본전후문제작품집』의 출현
3. ‘세대론’과 일본문학 수용 논리
4. 일본번역문학 수용론에 대한 비판
5. 4·19 이후 한국문학과 일본현대문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