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22l 조회수 9567
일 시 : 11월 25일(목) 9:30 - 18:10
장 소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소천홀
언 어 : 한영일 동시통역
9:30 - 9:50
전체사회 : 임채성(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교수)
개 회 사 : 한영혜(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소장)
제1세션: 국민국가 경계의 재조명 9:50 - 11:50
좌 장: 장인성(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발표 1: 테사 모리스 스즈키(호주국립대 아시아-태평양대학 일본사 교수)
“시민과 근대국가 일본의 경계”
발표 2: 한영혜(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디아스포라와 ‘다국적 기족’: 현대 일본의 이주자의 국적 ‘선택’에 대한 고찰”
발표 3: 아라라기 신조(蘭信三,죠치[上智]대학 언어학부 국제관계 교수)
“경계를 살아가다: 중국잔류 일본인이라고 하는 경험”
토론자: 임성모(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태기(호남대학교 일본어학과 조교수)
점심식사 11:50 - 12:50
제2세션: 아이덴티티와 생활세계 12:50 - 14:50
좌 장: 조관자(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교수)
발표 1: 권숙인(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여성: 몇 가지의 기초적 분석”
발표 2: 모리키 가즈미(森木和美, 아시아여성자립프로젝트 대표)
“재일외국인 여성과 자녀들을 둘러싼 환경: 아이덴티티 형성에의 영향”
발표 3: 남기정(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교수)
“베트남 ‘반전탈주병’과 일본의 시민운동: 생활세계의 전쟁과 평화”
토론자: 정준영(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오경석(한양대학교 다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제3세션: 디아스포라와 ‘자이니치’ 15:00 - 17:00
좌 장: 박훈(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조교수)
발표 1: 도노무라 마사루(外村大,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준교수)
“일본사회와 재일조선인: 전시체제, ‘해방’과 전후의 재편“
발표 2: 소냐 량(아이오와대학 인류학과 교수)
"‘자이니치’는 사라지는가, 아니면 왜 사라지지 않는가? :
‘자이니치’와 디아스포라 연구에 관한 주석”
발표 3: 한재향(도쿄대학대학원경영학연구과 경영교육연구센터 특임준교수)
“전후 재일한국인 기업의 산업구조와 다이나미즘의 기반:
교포신용조합의 역할을 중심으로”
토론자: 박정진(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조경희(한신대학교 강사)
종합토론 17:10 - 18:10
좌 장 : 정근식(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문 의 : 02-880-8503, ijs@snu.ac.kr